부정출혈이란
부정출혈이란 생리 외의 출혈로 호르몬 불균형과 다양한 질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부정 출혈의 색, 양, 양상은 다양합니다. 혈액은 출혈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면 색이 변하고 갈색으로 보이기때문에 갈색 부정 출혈은 출혈 후 조금 시간이 지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생리일 전 후의 갈색 부정 출혈은 생리가 시작되기 전의 출혈이 극미량일 때나 생리 후 자궁 내에 남아있는 혈액의 배출 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러나 선홍빛 이나 갈색 출혈이 갑자기 나타나거나 계속되는 경우는 진찰이 필요합니다.
부정출혈의 원인
부정출혈의 원인은 기질성, 기능성, 중간기, 기타 출혈로 구분됩니다.
기질성 출혈은 자궁이나 난소, 질에 어떠한 이상이나 질환으로 일어나는 출혈 입니다. 자궁 경부암, 자궁체 암, 자궁 근종, 자궁 내막증, 질염, 자궁 질부 비란, 자궁 경관 폴립 등이 부정 출혈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기능성 출혈은 질병이나 임신과 상관없이 여성 호르몬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출혈 입니다. 호르몬 균형이 무너지기 쉬운 사춘기나 갱년기에 일어나기 쉬워집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출혈이 이에 해당됩니다.
중간기 출혈은 월경 배란기에 발생하는 소량의 출혈로 비정상적이며 '배란기 출혈'이라고도 합니다. 그 외의 출혈은 임신 초기에 일어나는 착상 출혈, 성행위나 외상 등으로 생식기가 손상되었을 때 일어나는 외상 등 여러가지 이유로 부정 출혈이 일어납니다.
스트레스가 부정출혈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균형을 깨뜨리고 그 결과 부정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부정출혈이 일어나는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 난소 기능 저하, 혈관 기능 변화 등이 있습니다.
1. 호르몬 불균형
여성 호르몬의 분비는 뇌의 시상 하부에서 관여합니다. 시상하부는 몸이나 마음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뇌하수체에서 여성 호르몬을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를 방해하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균형을 깨뜨리게 됩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자궁의 정상적인 사이클을 무너뜨리고 자궁 내막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출혈을 초래하여 부정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로, 불규칙한 식생활, 극단적인 다이어트에서도 호르몬 불균형이 일어납니다.
2. 난소 기능 저하
심각한 스트레스는 난소 기능을 저하시켜 호르몬의 정상적인 분비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난소 기능 저하로 인해 부정출혈, 생리 불순, 무월경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혈관 기능 변화
스트레스는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방해합니다. 이는 자궁 내막으로의 혈액 공급 감소를 초래하고 자궁 내막의 불안정성을 만들게되어 부정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유발하는 부정출혈의 특징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출혈은 생리 주기를 변화시킵니다. 부정출혈로 생리 주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예상보다 일찍 또는 늦게 시작될 수 있습니다. 또 이러한 부정출혈은 양이 적거나 많기도하며 피덩어리가 같이 나오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출혈은 약한 복통이나 열감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및 부정출혈
스트레스를 완화하면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출혈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운동은 체력증진과 함께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입니다. 일주일에 3~5번, 30분 이상의 땀이 살짝 날정도의 중강도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충분한 수면: 충분한 수면은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낮추고 신체 회복에 도움을 주기때문에 하루 7~8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도록 합니다.
3. 명상 또는 요가: 명상이나 요가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마음의 평온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취미 활동: 좋아하는 취미 활동을 하는 것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5. 전문가 상담: 스트레스를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정출혈이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출혈이라고 판단되더라도, 다른 질병의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산부인과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지속적인 또는 심한 출혈, 복통, 발열, 피로, 체중 감량, 질 분비물 변화, 성교 시 통증이 있다면 다른 질병으로 인한 출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love >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인줄 알았는데 부비동염(증상, 치료방법, 코세척으로 빨리 낫는 법) (1) | 2024.05.30 |
---|---|
일반적인 요통(뼈, 근육 또는 신경의 질병으로 인한) (1) | 2024.04.03 |
족저 근막염의 증상과 원인, 예방법 (0) | 2024.04.02 |
발목염좌(발목 인대 손상)로 인한 발목 및 발의 통증 (2) | 2024.04.02 |
손목통증의 원인중 하나인 협착성 건초염·도켈반병 (3) | 2024.04.02 |